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 [책읽고] 나도 데이터를 다룰수 있을까? "쉽게 배우는 R 데이터 분석" 쉽게 배우는 R 데이터 분석 나도 데이터를 정제하고 분석해서 그 안에서 의미를 찾아낼 수 있을까? 데이터를 다루고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은 전문가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내가 접한 통계 프로그램은 조사방법론을 공부하며 다뤄본 SPSS가 전부였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사용료도 비싸고, 통계 프로그램은 논문을 쓸 때나 사용하겠거니 했다. 하지만 데이터 저널리즘 수업을 들으면서 R을 공부하게 됐다. 가볍고, 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하다고 했다. 잘 배우면 좋은 프로그램이겠다. 근데 어떻게 배우지? 세상에 유용한 프로그램이 아무리 많다고 하더라도 내가 사용할 줄 모르면 당연히 아무 소용이 없는 거다. 또 프로그램의 다양한 기능한 기능 때문에 시작하기도 전에 겁을 먹을 수도 있다. 김영우 씨가 쓴 ".. 2021. 1. 29. [책읽고] 생각하는 힘, 두뇌보완계획 100 두뇌보완계획 100 두뇌보완계획 100을 만난 건 이 년 전이었던 것 같다. 대학에서 공부를 하면서도 생각하는 법, 생각하는 힘의 부족을 느끼고 있던 때, 인터넷에서 우연한 기회로 두보계를 만났다. 책 제목부터 마음에 들었다. 공부만 하면 정말로 머리가 좋아질 것 같았다. 10일 치 공부를 마치고, 먼저 두보계를 공부한 사람들의 후기는 논리 공부를 하고싶게 만들었다. 초반에는 재밌게 공부했다. 추론이란 무엇인지, 참이다, 거짓이다와 같은 논리의 기본 법칙들을 단숨에 공부해나갔다. 하지만 진도가 나갈수록 어려움에 부딪히는 때가 많았다. 이면 넣기를 이면 문장을 결론에서 뿐만 아니라 이면 문장을 이끌어내고 싶을 때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 양화논리를 배우며 "~는 거짓이다."와 "~가 아니다."의 차이를 명.. 2021. 1. 28. [책읽고] 비움과 절제의 자기관리 "절제의 성공학" -미즈노 남보쿠 성공하고 싶지 않은 사람은 없습니다. 성공을 이야기하는 수많은 자기개발서들과 유튜브의 영상들은 성공하기 위해 이렇게 저렇게 하라고 말합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라, 끊임없이 도전하라, 기록하라 등 "성공의 비결"은 많습니다. 다 옳은 말입니다. 그렇지만 이런 성공의 덕목을 듣고 있다보면 거부감이 들 때도 많습니다. 왜 그렇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이유와 성찰은 빠져있고, 기술적·행동적 측면만을 강조하기 때문입니다. 웅장하고 비장한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는 자기개발 콘텐츠를 볼 때는 세상이라도 들어올릴 듯 의지가 넘쳐나지만 이내 예전의 삶으로 돌아가버리곤 합니다. 왜 그럴까요? 제가 내린 결론은 내 생각과 마음은 바꾸지 않은 채 행동만 바꾸기를 반복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성공은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 생각·.. 2021. 1. 25. 부업, 라임쥬서 경험담 부업, 라임쥬서 경험담 부업. 요새 정말 많이들 하는 것 같습니다. 본업만으로 경제적으로 만족할 만한 생활을 하기 힘들어서겠죠. 저도 궁금한 마음에 부업을 시도해봤습니다. 검색해봤습니다. 많이 나옵니다. 별다른 능력도 없으니 제 노동력을 팔 수 있는 부업을 찾았습니다. 배달은 낮에는 할 일이 있으니 할 수 없고, 저녁과 밤 시간을 이용해서 할 수 있는 라임 킥보드 충전이 끌렸습니다. 라임은 몇번 이용해서 친숙하기도 했고, 킥보를 충전해서 가져다놓기만 하면 된다니 솔깃하기도 했습니다. 라임 킥보드를 충전하는 사람을 쥬서라고 합니다. 당장 신청해봤습니다. 신청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인터넷 검색과 신청 페이지에서 지시하는 내용을 따르기만 하면 됩니다. 신입 쥬서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데 코로나 .. 2020. 12. 31.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